분류 전체보기260 문제-해결-반성의 성장 싸이클 (22.09.14 TIL) 이번 주부터 TDD를 시작했는데 이 시점에 보기에 아주 좋은 아샬 님의 영상을 찾아서 기록으로 남기려고 한다. 영상은 본문 맨 아래에 있다. 스스로가 성장을 하기 위해서 가만히 있는 것은 나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내가 지금 성장한 건지 아닌 지 알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내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는가, 아닌가 이다. 지금 내가 어떤 상태에 와 있는지 알고 싶으면 문제를 만나야 한다. 적당한 난이도의 문제를 만나든 어려운 문제를 만나든 대부분 처음에는 실패하는데, 이 실패 단계에서 낙심할 필요가 전혀 없다. 당연히 어려운 문제일 것이다. 하지만 실패를 했다는 것은 '어떤 것이 통하는 방법이고, 어떤 것이 통하지 않는 방법'이라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아샬 님이 영상에서 언급하신 (내가 정.. 2022. 9. 14. 코딩도장 시간 활용하기 (22.09.13 TIL) 주간 일과 시간 중에 코딩도장 이라고, 알고리즘 문제를 하루에 한 개씩 푸는 시간이 있다. 매번 할 때마다 해결 방법을 고민하기에도 시간이 모자라서 다소 뻔한 풀이 방법으로 문제를 풀어내고는 했었는데, 이렇게만 해서는 시야가 넓어질 것 같지가 않았다. 그래서 이제는 답 제출 후 시간이 많이 남으면 답을 제출 한 뒤에 다른 사람들이 한 코드를 보면서 이렇게도 풀 수 있구나~ 하고 혼자 분석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한다. 오늘 푼 것은 프로그래머스 문제 중에 '제일 작은 수 제거하기' 라는 문제였고, 정수를 저장한 배열에서 가장 작은 수를 제거하는 배열을 리턴하는 함수를 완성하는 미션이였다. 제일 많은 사람들이 푼 방법은 아래와 같은데 나도 이런 방식으로 풀어냈다. (힌트 살짝 보긴 함 ㅎㅎ) class S.. 2022. 9. 13. 작은 성공 만들기 (22.09.12 TIL) 추석 연휴가 끝나고 다시 새로운 한 주가 시작됐다. 지난 한 주동안 그냥 쉬기만 하면 너무 나태해질 것 같아서 쉬는 동안에 혼자만의 약속을 한 게 있다. TIL 은 매일 쓰기, 프로그래머스 문제 하루에 하나씩 풀어서 커밋하기, 주말 강의 영상은 평일에 보고 강의노트, 개념노트 미리 완성해놓기. 다행히 다짐했던 모든 투두리스트는 지켜냈다. 거창한 목표들이 아니라서 누가 봤을 때는 '당연히 할 수 있는 것들 아니야?' 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지만 큰 목표를 세우면 성공을 하지 못할 시에 (나는 나 자신을 믿지 않기 때문에 ㅎㅎ) 너무 큰 자책과 함께 우울한 기분이 들 것 같아서도 있고, 사소한 목표를 여러개 세워서 차라리 작은 성공들을 몇 개 만드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했다. 사실 조금은 쉬고 싶은 마음도 있.. 2022. 9. 12. ArraysList.asList() vs List.of() (22.09.11 TIL) 강의 영상중에 List.of() 를 사용하는 구간이 있었는데 처음보는 메서드라서 정리할 겸 글을 쓴다. List 는 배열의 한계 때문에 만들어진 자료형으로서 컬렉션 프레임워크의 주요 인터페이스 중 하나이다. 배열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크기를 정해야 한다. 그런데 크기를 처음부터 알 수 없다면 어떨까? List 는 크기 지정 없이 객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메모리가 허용하는 한 계속해서 추가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List 를 만들 때 우리는 보통 ArrayList 로 객체를 생성한다. 하지만 이 방법 말고도 Arrays.asList() 나 List.of() 메서드로도 생성할 수 있다. 일단 각 메서드가 속한 클래스는 아래와 같다. List.of() 는 Java 9 부터 도입된 메서드이다. imp.. 2022. 9. 11. 약간의 뽀모도로를 곁들인 (22.09.10 TIL) 매 주말마다 올라오는 강의영상을 보는 중인데, 처음에는 집중이 잘 되다가 영상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집중력이 떨어졌다. 평소 뽀모도로를 돌리며 공부시간과 쉬는시간을 나눠서 작업을 해도, 중간에 공부시간이 쉬는시간 알람에 방해를 받으면 정신이 확 산만해져서 뽀모를 거의 지키지 않고 공부를 하다 쉬고 싶을 때 쉬는 편이였다. 그런데 조금 더 높은 수준의 강의를 듣고있다보니 중간 중간 계속 집중력이 흩트러지고 정신이 산만해져서 45분 알람을 켜놓고 공부를 해보았다. 그 쉬는 시간 15분의 알람소리가 마치 천국이 종소리처럼..ㅋㅋㅋ들리는 순간이 있다. 강의를 3번을 봐도 도저히 이해가 되지를 않아서 일단 끝까지 완주는 한 뒤 산책을 나갔다. 마침 딱 구름도 너무 예쁘고 (하늘을 찍지는 않았지만) 날씨도 너무 좋.. 2022. 9. 10. 예외 처리 (Exception) 0) 예외란? 1) 사용자의 잘못된 조작 또는 개발자의 잘못된 코딩으로 인해 발생한 프로그램 오류를 말하며 예외 처리(Exception Handling)을 통해 프로그램을 종료하지 않고 실행할 수 있음. 2) 자바에서는 예외를 클래스로 관리하며 예외가 발생하면 예외 클래스 객체를 생성함. 3) 모든 예외 클래스는 java.lang.Exception을 상속받음. 1. 예외 처리 1) 컴파일 오류 (compile error) : 프로그램 코드 작성 중, 컴파일 할 때 발생하는 에러. 2) 논리적 오류 (logical error) : 작성 의도와 다르게 동작하는 것. 3) 실행 오류 (runtime error) : 실행할 때 발생하는 에러. 실행중인 프로그램이 의도하지 않는 동작(bug)을 하거나 프로그램이 .. 2022. 9. 10.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