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60 PostgreSQL - TablePlus 연결하기 (23.03.23 TIL) fly 로 배포했던 플모그래피 프로젝트 DB 안의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서 GUI 툴이 필요한 시점이 왔다. 데이터들을 수동으로 하나 하나 밀어넣어주기 위해서이다. 다른 동료들은 Postico 를 이용했어서 나도 같은 걸로 해볼까 하다가 맨 아래에 첨부해둔 블로그를 참고하여 최종적으로는 좀 더 기능이 많은 TablePlus 를 이용해보기로 했다. TablePlus 홈페이지에서 MacOS 용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이런 로그인 창이 뜬다. 처음 PostgreSQL 을 만들 때 받았던 username, password, hostname, port 번호 등등이 필요하다. 이 정보들을 위 로그인창에 입력해주면 되는데, 이대로만 입력하면 "host not found" 라는 오류가 뜰 것이다. 이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서.. 2023. 3. 23. 2월 두 번째 주간회고 (feat. Plmography 프로젝트 7주차 그리고 수료 D-Day) 오늘은 기획 주를 포함한 프로젝트 8주의 대장정을 마감하는 수료일이다. 메가테라에서 이렇게 귀여운 수료증도 받았다 ㅎ.ㅎ 두 달 이라는 시간이 처음 시작할 때는 길게 느껴졌어서 초반에는 조금 여유를 부렸었다. 그러다 한 달이 된 시점에 생각보다 진도를 나가지 못한 것 때문에 발등에 불 떨어진 사람처럼 급하게 작업을 했고 3주 남은 시점에는 50퍼 정도 완성 된 상황을 보고 아차, 싶었다. 당시 TIL 을 살펴보면 '이렇게 된 이상 MVP 구현 완성에 집중하자!' 라는 글을 남긴 게시물이 있다.ㅋㅋㅋㅋ 어쨌든 오늘 데모데이에는 보여줄 수 있을만큼 실제 기능 구현을 완성했고 다행히 그리고 무사하게 발표를 마치고 수료증을 받게 되었다. 아직 카카오 로그인 구현이나 알림 기능 구현 등 태스크가 남아있어서, 최대.. 2023. 2. 13. Plmography 프로젝트 작업 로그 #52 - css 컨텐츠 상세 페이지 완료 (23.02.11 TIL) 어제는 홈 페이지를 완료했고, 오늘은 컨텐츠 상세 페이지 스타일링을 완료했다. 하루에 한 페이지를 하는 것 같은데...^^ 번거로운 페이지는 거의 끝났고 이제는 비교적 간단한 페이지들만 남아서 오늘 밤을 새서 한 3 페이지는 완료하고 자려고 한다. 가보자고~ 2023. 2. 11. Plmography 프로젝트 작업 로그 #51 - css 작업 계획 (23.02.10 TIL) 이번주 일요일 오후까지 완성해야 할 페이지 - 홈 페이지 - 탐색 페이지 - 커뮤니티 목록 - 커뮤니티 게시글 디테일 - 컨텐츠 상세 페이지 - 마이 페이지 지금 현재 홈페이지 작업만 80% 완료. 나머지도 이틀 안에 다 할 수 있을까,,?ㅎㅎ 일단 가보자고,,,! 2023. 2. 11. Plmography 프로젝트 작업 로그 #50 - if 문을 잘 사용하자! (23.02.09 TIL) 작업을 진행하면서 글을 등록하고 수정하는 작업을 많이 했는데, 그 중에 사진을 업로드하고, 다시 수정하는 작업이 아마존 s3 스토리지와 연결되어서 조금 골치아팠었다. 분명히 file 객체로 전달했건만 서버에서는 계속 NPE 를 뱉어내는 등 디버깅을 하다 지쳐서 일단 주석처리 해놓고 다른 작업을 했는데, 오늘 드디어 다시 살펴보았다. 이런 저런 방법을 구글링 해보다가 제일 쉬운 방법이 떠올랐다. 바로 if 문으로 조건을 걸어서, 전달되는 값이 file 객체가 아니라 string (image url) 일 경우 s3 upload api 를 호출하지 않는 것이다! 제일 쉬운 방법으로 내가 원하던 기능이 잘 동작됐다. 더 수준 있는 코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메서드를 분리한다든가, api 를 분리한다든가 하는 방법이.. 2023. 2. 9. Plmography 프로젝트 작업 로그 #49 - 문자열과 숫자를 제대로 구분하자.. (23.02.08 TIL) 간혹 가다 프론트에서 api 를 호출할 때 인자로 넣어주는 id 값을 url 에서 가져올 때가 있다. 그럴 때는 split 메서드를 써서 아이디값만 아래처럼 따로 추출한다. // url localhost:8080/community/posts/11 // 위 url 에서 id 값 11 을 가져오기 위한 코드 const postId = location.pathname.split('/')[3]; split 메서드는 자바에서도 그렇고 '문자열'을 나누는 메서드이다. 그렇기 때문에 저 코드에서 반환되는 값도 당연히 문자열이다. 이 당연한 사실을 자꾸 까먹고, 11 을 숫자로 인식하고 메서드에 넣었다가 원하는 대로 동작이 되지 않아 끝없는 디버깅을 한 적이 있는데 오늘 또 그 행동을 반복했다^^.... 이것 때문에 .. 2023. 2. 8. 이전 1 2 3 4 ··· 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