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IL173

SQL 기본 문법 정리해보기 (22.11.24 TIL) 1. SQL 기본 문법 1) USE 문 - SELECT 문을 실행하려면 먼저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지정해야 함. - 기본 형식 : USE 데이터베이스_이름; - 이렇게 지정해 놓은 후, 다시 USE문을 사용하거나, 다른 DB를 사용하겠다고 명시하지 않으면 앞으로 모든 SQL문은 이 데이터베이스에서 수행됨. 2) SELECT 문 - 기본 형식 : SELECT (조회할 열 이름)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식); SELECT * FROM member WHERE mem_name = '블랙핑크'; -- member 테이블에서 mem_name 이 '블랙핑크'인 모든 열 조회 -- (*) 의미는 모든 항목이라는 뜻. SELECT addr, height FROM member; -- member 테이블에서 .. 2022. 11. 24.
스프링 @ActiveProfiles (22.11.23 TIL) 개발을 하다보면 여러 개의 환경을 관리해야 한다. 실제 서비스가 운영되는 환경이 있다면, 테스트 코드를 위한 테스트 환경이 있고, 실제 운영 환경과 동일하게 맞춰두고 QA 를 진행하는 스테이지 환경 등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각각의 환경들에 맞게 서로 다르게 빈을 정의해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개발을 위해서 로컬 또는 내장 캐시를 이용할 수 있지만, 실제 운영을 위해서는 외부 캐시를 이용하는 상황처럼 말이다. 스프링은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르게 빈을 정의할 수 있도록 환경을 분리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이와 관련된 어노테이션이 @ActiveProfiles 이다. @ActiveProfiles 이 어노테이션은 활성 프로파일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활성 프로파일이란 스프링 컨테이너를 실행할 때 실행 환경을 .. 2022. 11. 23.
애매한 완벽주의 버리기 (22.11.22 TIL) 이번주 강의 영상은 약 15시간으로 사실상 마지막 강의라고 할 수 있는 주이다. 원래의 가이드라인은 주말에 강의영상 시청을 모두 완료한 후 월요일부터 시작되는 주간에 강의 인출을 하며 퀘스트 과제를 완성하는 플랜인데, 주말에 강의를 다 시청하지 못해서 평일까지 끌고 온 것도 모자라서 화요일인데도 불구하고 아직도 시청을 다 끝내지 못했다. 강의를 매번 찾아보지 않기 위해 아예 처음부터 제대로 노트 정리를 해야 한다는 욕심 때문인데, 월요일 저녁에는 영상 시청과 강의 노트 정리를 끝낼 수 있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었지만 현실은 내 계획대로 흘러가지 않았다(ㅎㅎ..). 이제 겨우 10시간 정도의 영상 정리를 끝냈고 아직 5시간 가량 남았는데 벌써 화요일 밤이다. 아까 오후까지만 해도 뭔가 잘못됨을 느꼈지만 '.. 2022. 11. 22.
Java - enum 타입 (22.11.21 TIL) 오늘도 돌아온 Jenna 의 자바 개념 정리 시간~ 📌 1. 열거 타입 (Enumeration Type) 1) 한정된 값만을 갖는 데이터 타입 (가을, 겨울, 로그인 성공, 로그인 실패 등). 2) 관련된 상수들을 같이 묶어 놓은 것. (무늬는 무늬끼리, 숫자는 숫자끼리) - Java는 타입에 안전한 열거형을 제공. class Card { enum Kind { CLOVER, HEART, DIAMOND, SPADE } //열거형 Kind를 정의 enum Value { TWO, THREE, FOUR } //열거형 Value를 정의 final Kind kind; //타입이 int 가 아닌 kind 임. final Value value; if(Card.Kind.CLOVER == Card.Value.TWO) { .. 2022. 11. 21.
Web Storage (22.11.20 TIL) 웹 스토리지 (Web Storage) 웹 스토리지 API는 기존 쿠키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웹 브라우저가 직접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해준다. HTML5 이전에는 응용 프로그램이 데이터를 서버에게 요청할 때마다 매번 쿠키라는 곳에 그 정보를 저장했다. 하지만 쿠키와 다르게 웹 스토리지는 네트워크 요청시 서버로 전송되지 않으며 사용자 측에서 좀 더 많은 양의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해준다. 대부분의 브라우저는 최소 2MB 혹은 5MB 이상의 웹 스토리지를 저장할 수 있는 많은 공간을 가지고 있다. 쿠키와 또 다른 점은 서버가 HTTP 헤더를 통해 스토리지 객체를 조작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웹 스토리지는 오리진(origin)마다 단 하나씩만 존재한다. 오리진이란 도메인과 프로토콜의 한.. 2022. 11. 20.
인수 테스트 (22.11.19 TIL) 이번 주 풀 스택 강의에서 인수 테스트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인수 테스트는 사용자 스토리(시나리오)에 맞춰 수행하는 테스트이다.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와 달리 비즈니스 쪽에 초점을 둔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사람들(ex. 기획자, 클라이언트 대표, 개발자 등)이 토의해서 시나리오를 만들고, 개발자는 이에 의거해서 코드를 작성한다. 개발자가 직접 시나리오를 제작할 수도 있지만, 다른 의사소통집단으로부터 시나리오를 받아(인수) 개발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시나리오에서 요구하는 것은 '누가, 어떤 목적으로, 무엇을 하는가'이다. 소프트웨어를 인수하기 전에 명세한 요구사항 (인수 조건) 대로 잘 동작하는지 검증이 필요하다. 실제 사용자 관점에서 테스트할 때는 주로 E2E (전 구간 테스트, End-to-.. 2022. 1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