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회고23 12월 세 번째 주간회고 (feat. Plmography 프로젝트 기획 주간) 📚 221212-221218 나만의 포트폴리오 기획하기 저번 주 레벨테스트를 끝내고 이번 주부터 약 두 달간 나만의 포트폴리오를 만들기 작업을 진행 중이다. 기획부터 프론트, 백엔드까지 모두 나 혼자서 진행해야 한다. 지난 기수분들의 기획 주간을 옆에서 지켜본 덕분인지 기획 주의 무서움(?) 은 이미 체감하고 있었지만 실제로 겪어보니 상상 이상이다. (정말 세상의 모든 기획자분들 존경합니다..) 수요일까지 프로세스 구조도와 화면 정의서를 위 사진과 같이 끝내고, 목요일부터 사용자 스토리, 인수 테스트 작성 및 프론트엔드 URL과 백엔드 REST API 설계를 끝마쳤는데, 이게 맞는 건지 긴가민가하다. 실제 주어진 과제를 할 때는 주어진 요구사항과 api 등 기존에 정해진 것들에 맞춰서 구현에만 집중하면 .. 2022. 12. 19. 12월 두 번째 주간회고 📚 221205-221209 레벨테스트 끝 📍 마카오 기프트샵 프론트엔드 레포 📍 마카오 기프트샵 백엔드 레포 2주간 진행했던 레벨테스트가 마무리 되었다. 최종 작업물은 이렇다. 비록 스케줄 계산을 잘못해서 2주 중에서 남은 일주일의 마지막 3일 정도에 휘몰아쳐서 작업하긴 했지만 결과물을 보니 뿌듯하고만?ㅎㅎ 레벨테스트를 하면서 알게 된 것이 많다. 리액트 컴포넌트는 최대한 잘게 잘게 분리해주는 것이 좋다. 리액트에도 관심사의 분리가 필요하다. E2E 테스트를 할 때는 모든 테스트를 동일한 상황으로 세팅해놓고 테스트가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해주어야 한다.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보다 use hooks 를 직접 만들어서 최대한 많이 활용해보자. 테스트에 모킹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설계가 잘못되었다는 신호이다... 2022. 12. 11. 12월 첫 번째 주간 회고 📚 221128-221202 레벨 테스트 ing 메가테라에서의 모든 강의영상은 끝이 났다. 11월 마지막주~12월 둘 째주 까지 약 2주간의 시간 동안 레벨 테스트가 진행되고, 다다음주 부터는 포트폴리오 기간이 시작된다. 이 글을 쓰기 전, 처음 메가테라에서 학습을 시작했던 8월 중순의 주간 회고를 보았는데 지금이랑 확실히 텐션이 다른 게 느껴진다. (ㅋㅋㅋ) 8월 첫 번째 주간회고 📚 220815-220819 메가테라에서의 일주일은 토요일 부터 그 다음주 금요일 까지이다. 주말과 일요일에 강의를 보며 학습하고, 그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월~금 까지의 일정이 시작되는 것이다. (1주 winteringg.tistory.com 점점 메가테라에서 온전히 학습만 할 수 있는 시간에 끝이 오고 있다는 걸 인지하고.. 2022. 12. 4. 11월 네 번째 주간 회고 📚 221121-221125 이번 주 배운 것 이번 주는 마지막 강의 영상이라고 할 수 있는 약 15시간의 대장정이 담긴 풀스택 강의 주차였다. 인수테스트부터 시작해서 프론트, 백엔드의 개발 과정 및 단위 테스트들이 담긴 아샬님의 액기스 모음집이라고나 할까? 그래서 그런지 모든 내용을 다 정리해버리겠다는 마음가짐으로 주말을 시작했다. 그렇게 -영상 하나씩 보며 노션 정리- 를 반복하다 보니 30분짜리 강의가 1시간이 되고, 1시간짜리 강의는 2시간이 되는 등 당연히 진도가 느려지기 시작했다. 일요일 저녁이 되어서도 아직 반도 시청 못한 강의들이 남아있는 것을 보고 아차 싶었지만, 월요일 안에 다 보고 화요일부터 과제 시작하면 되지~라는 안일한 마음이 있었던 것 같다. 이런 마음가짐으로 임하다 보니 빡세게.. 2022. 11. 25. 11월 세 번째 주간 회고 📚 221114-221118 이번 주 배운 것 저번주 리액트에서는 각각의 컴포넌트에서 useState 만 이용해 상태를 관리한 반면에 이번주는 store 를 만들어 상태를 관리하고 custom hook 을 이용해 개별 컴포넌트에서 다룬 복잡한 로직들을 관심사에 따라 분리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리고 그 각각의 컴포넌트들의 테스트 코드를 작성했다. 백엔드에서도 먼저 테스트 코드를 짠 후 로직을 구현하는 것에 이제 그나마 익숙해진 상태인데 프론트에서도 테스트 코드를 짜려니 여간 어려운 게 아니었다. 백엔드 과정에서 테스트 코드를 짤 때는 일단 로직은 정해진 상태이니 다른 부가적인 요소가 변경되어도 핵심 로직을 테스트하는 코드에는 변함이 없었는데, 프론트로 테스트 코드를 짤 때는 아무래도 UI 와 관련되어 있어.. 2022. 11. 18. 11월 두 번째 주간 회고 📚 221107-221111 이번 주 배운 것 9주차 리액트 학습 시간에서는 컴포넌트 분리보다는 한 컴포넌트에 모든 기능을 다 넣는 방식으로 구현했었는데 이번 12주차에서는 컴포넌트 분리 뿐만 아니라 컴포넌트 별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여 각 컴포넌트가 맡은 기능만 테스트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을 배웠다. 자바에서는 테스트 코드 작성시 MockMvc 라는 가짜 객체를 모킹해서 의존성을 줄여주었다면 jest 는 가짜 함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jest.fn() 이라는 함수를 제공한다. 이 가짜 함수는 일반 자바스크립트 함수와 동일한 방식으로 인자를 넘겨 호출할 수도 있다. 이렇게 객체를 만들어놓고, fireEvent 라는 핸들러를 사용해서 인위적으로 이벤트를 생성한 후 트리거 시킨다. 그리고 styled-com.. 2022. 11. 13.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