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60 반복만이 살 길 (22.10.05 TIL) 매주 있는 강의 반복 과제의 난이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그래도 4주차까지는 수~목요일 쯤에는 안 보고도 대강 인출할 수 있었는데 이번 주차는 벌써 내일이 수요일 인데도 영상을 참고하지 않고서는 완성하지 못 할 것 같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프로세스는 이해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주말에는 그저 강의 노트와 개념노트를 정리해야 한다는 압박감 때문인지 코드를 정신없이 따라쳐서 플로우를 이해하지 못하고 월요일을 맞이했다. 그리고 짝프로그래밍을 했는데 월요일은 그나마 쉬운 첫 부분 인출이라 그럭저럭 넘어갔지만 어제는 제일 어려운 송금 부분을 짝프로그래밍으로 인출해야했다. 강의 노트 정리와 영상을 참고해가며 동기들과 어떻게든 완성은 했지만 이러면 안되겠다 싶어서 어젯밤부터 오늘 오전까지 영상을 다시 한 번 2배.. 2022. 10. 5. '그림으로 배우는 HTTP & Network Basic' 4장~6장 HTTP & Network Basic - 교보문고 재미있게 배워보는 웹과 네트워크 입문 | 이 책은 웹의 근간을 이루는 HTTP를 중심으로 하여 웹, 인터넷 데이터 통신 분야의 기초가 되는 내용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관련 분야를 배우고자 하는 www.kyobobook.co.kr [제4장, 결과를 전달하는 HTTP 상태 코드] HTTP 상태 코드 클래스 설명 1xx Informational 리퀘스트를 받아들여 처리 2xx Success 리퀘스트를 정상적으로 처리 3xx Redirection 리퀘스트를 완료하기 위해서 추가 동작이 필요 4xx Client Error 서버는 리퀘스트 이해 불가 5xx Server Error 서버는 리퀘스트 처리 실패 클라이언트가 보낸 리퀘스트를 서버에서 처리한 결과를 알려준다.. 2022. 10. 5. 프록시, 게이트웨이, 터널 (22.10.04 TIL) HTTP 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이외에 프록시, 게이트웨이, 터널 같은 통신을 중계하는 프로그램과 서버를 연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프로그램과 서버는 그 다음에 있는 다른 서버에 리퀘스트를 중계하고, 그 서버로부터 받은 리스폰스를 클라이언트에 반환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프록시 vs 게이트웨이 -> 프록시는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한다. ->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둘 이상을 연결한다. 프록시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양쪽 역할을 중계하는 프로그램으로, 클라이언트로의 리퀘스트를 서버에 전송하고, 그에 대한 서버의 리스폰스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받은 리퀘스트 URI 를 변경하지 않고 그 다음의 리소스를 가지고 있는 서버에 보낸다. 리소스의 본체를 가진 서.. 2022. 10. 4. HTTP 지속연결성과 파이프라이닝 (22.10.03 TIL) HTTP는 세션이 없는 프로토콜이다. HTTP 의 각 요청 및 응답 시퀀스는 서로 독립적이다. 즉, HTTP 자체적으로 각 요청에 고유한 연결이 있어야 한다. 이것을 더 효율적으로 만들려면 HTTP Keep-Alive가 필요하다. HTTP 1.0과 HTTP 1.1 의 가장 큰 차이점은 연결의 지속성(Connection: Keep-alive)이다. HTTP 는 기본적으로 TCP 를 이용하여 통신한다. 이 때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낸 다음 응답으로 응답하는 요청-응답 패러다임에서 HTTP 1.0 은 TCP 세션을 유지하지 않는다. 매번 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 할 때마다 TCP 세션을 닫고 열고를 반복한다. 반면 HTTP 1.1 은 TCP 세션을 한 번만 맺으면 여러개의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수신할 수.. 2022. 10. 3. git cherrypick 할 때 같은 레포지토리를 쓰고 있을 때 다른 사람의 PR (혹은 commit) 을 내 로컬로 가져오는 법: cherry-pick 1) 먼저 원격 저장소와 내 로컬 저장소를 맞추기 위해 git fetch upstream main 2) 원격 브랜치의 데이터를 내 로컬 브랜치로 옮기기 위해 내 로컬에도 브랜치를 생성해야 함! 3) 브랜치 생성 후, 가져오고 싶은 pr 로 가서 CLI 코드를 복사해 옴. 4) 터미널창에서 실행 -> base 레포지토리 선택 -> 데이터가 내 로컬로 옮겨지며, 복사된 pr 의 브랜치로 체크아웃 됨 * 만약 CLI 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 설치해야 함! 5) 복사된 pr 의 브랜치로 체크아웃 된 상태이므로, 다시 내가 처음 생성한 브랜치로 체크아웃! 6) 가져오고 싶은 커밋의 SHA .. 2022. 10. 3. '그림으로 배우는 HTTP & Network Basic' 1장~3장 HTTP & Network Basic - 교보문고 재미있게 배워보는 웹과 네트워크 입문 | 이 책은 웹의 근간을 이루는 HTTP를 중심으로 하여 웹, 인터넷 데이터 통신 분야의 기초가 되는 내용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관련 분야를 배우고자 하는 www.kyobobook.co.kr [제1장, 웹과 네트워크의 기본] 웹은 HTTP 로 나타낸다 클라이언트는 입력란에 지정된 URL에 의지해서 웹 서버에게 의뢰를 하고, 리소스를 얻는다. 이 때 '클라이언트 ~ 서버'까지의 흐름을 HTTP 프로토콜이 결정한다. 멀리 떨어져 있는 팀원과 지식 공유를 하기 위해 WWW 가 고안되었는데, 당시에는 하이퍼텍스트를 열람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이었다. 이후 현재에 와서는 웹 브라우저라는 일련의 시스템적인 명칭.. 2022. 10. 3.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