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까지 기획 설계 및 개발 세팅까지 다 끝내고 실질적으로 개발에 들어간 오늘.
헤더 라우팅 처리를 끝내고 상세 페이지부터 작업하려는데 DB 에 있는 컨텐츠를 원하는 조건에 맞춰 필터링 해주는 서비스가 핵심이다보니 당장 화면에 출력해줘야 하는 데이터를 어떻게 가져올 지가 오늘의 고민이었다. TMDB 에서 제공하는 오픈소스 API 를 사용할 예정이어서 그 사용법을 살펴보고 있었는데, 외부 API 를 한 번도 사용해본 적이 없어서 망설이고 있었다. 그래서 헤더만 구현한 채 디테일 페이지는 하지도 못하고 오후 시간을 흘려 보냈는데, 동료분이 일단은 먼저 하드코딩으로라도 데이터를 밀어 넣어서 화면에 보여주는 작업을 먼저 해보는 게 어떻겠냐는 조언을 주셨다. 그래서 그 조언대로 일단은 하드코딩으로 한 컴포넌트 안에 모든 데이터를 작성해서 마크업 및 간단한 스타일링을 완료했다.
이렇게 위 사진처럼 내가 원하는 대로 화면에 나오는 것을 확인한 후에 컴포넌트를 관심사에 따라 쪼개는 작업을 하고 store 를 생성해서 데이터를 옮겼다. 이제 이 데이터는 어떤 방식으로든 외부에서 가져오기만 하면 나머지는 건들 필요가 없어진다. 이렇게 작업을 하다보니 메가테라 코스 초반에 트레이너분이 말씀하신 DB 에 의존하지 말라는 말이 이런 맥락이었나 싶다. 그때는 'DB 구조를 먼저 설계하지도 않고 어떻게 구현을 하지?' 라는 고민만 가지고 있었는데 이제서야 조금은 이해가 가는 것 같기도..!? 어쨌든 현재 여기까지 구현을 했고, 이제 api 를 가져올 방법을 다시 공부해봐야 겠다. 내가 원하는 대로 화면이 일단은 구현되니 조금은 맘이 편해졌다.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Plmography 프로젝트 작업 로그 #12 - TMDB API 사용하기 (22.12.23 TIL) (0) | 2022.12.23 |
---|---|
Plmography 프로젝트 작업 로그 #11 - TMDB API 사용하기 (22.12.22 TIL) (1) | 2022.12.22 |
Plmography 프로젝트 작업 로그 #9 - E2E 테스트 작성 시작 (22.12.20 TIL) (0) | 2022.12.20 |
Plmography 프로젝트 작업 로그 #8 - 스프린트 & 프론트 개발 세팅 (22.12.19 TIL) (0) | 2022.12.19 |
Plmography 프로젝트 작업 로그 #7 - 클래스 다이어그램 (22.12.18 TIL) (0) | 2022.12.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