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금요 지식회의 주제는 노아님의 '코드 리뷰를 해야 하나요?' 였다. 코드리뷰의 중요성, 코드 리뷰가 안되는 이유, 그것을 극복하는 방법 등에 대해 발표해 주셨는데, 제일 와닿았던 부분은 어쨌든 모든 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것이고, 그래서 소프트 스킬이 중요하다는 부분이었다.
소프트 스킬은 직장에서 유대감을 쌓고 공동체적 의식을 확립할 때 기반이 되어준다. 특히 협업이 많은 개발자 분야에서는 정말 중요하다. 소프트 스킬은 단순히 사회성, 긍정적인 태도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팀워크와 존중, 소통, 정서 공유, 유연성, 융통성, 문제 해결 능력 등 많은 스킬들이 있다. 이러한 소프트 스킬이 없다면 아무리 하드 스킬 (전문적인 능력) 이 뛰어나다고 하더라도 소용이 없다. 결국 모든 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들인데 소프트 스킬이 현저히 낮은 동료와 누가 같이 일하고 싶겠는가?
소프트 스킬은 회사의 목표와 비전을 이해하고, 업무의 의도를 파악하고, 아이디어를 주고받고, 편안하고 안전한 업무 환경을 조성하고,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능력이다. 그렇다고 해서 기술적인 부분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아니지만, 소프트 스킬을 갖추지 않는 한 기술적 능력이 빛을 발할 기회는 많지 않을 것이다.
그동안 다녔던 회사생활을 합치면 한 4년 정도 되지만, 내가 소프트 스킬을 갖춘 상태로 동료들과 협업했을까? 생각해보면 아직은 잘 모르겠다. 예민하지 않아서 두루두루 잘 지내는 성격이지만 동료와 유대감을 쌓으며 정서를 공유하고 소통을 잘 했는가? 라고 구체적으로 짚어보면 부족한 부분이 많은 것이다. 협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개발자 라는 직종을 선택한 만큼 소프트 스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거두지 말자! 그렇다고 너무 밖에서 쏟아내기만 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으므로 스위치 온오프를 잘 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할 것 같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JPA (Java Persistence API) (22.10.23 TIL) (0) | 2022.10.23 |
---|---|
DTO 란 (22.10.22 TIL) (0) | 2022.10.22 |
잡념 없애기 (22.10.20 TIL) (1) | 2022.10.20 |
코드에 의도 드러내기 (22.10.19 TIL) (1) | 2022.10.19 |
JavaScript - keys(), values(), entries() (22.10.18 TIL) (1) | 2022.10.18 |
댓글